본문 바로가기

대학원수업6

18. 복식미학강의 2 - 5. 포스트모더니즘 패션(2) 2. 포스트모더니즘 이론과 반미학 * 일반 사회문화∙예술 현상에 나타나는 포스트모더니즘 핵심 내용. - 할 포스터(Hal Foster): ‘저항의 포스트모더니즘’을 이룩하려고 개척자적인 시도. - 반미학 : 모더니즘의 기존 질서를 와해(deconstruction)시키는 비판의 시작. : 모더니즘 그 자체의 이미지 속에 모더니즘 봉인하기 위함이 아닌 개방시키기 위해 해체해 재기술(rewrite). : 닫힌 모더니즘과 열린 포스트모더니즘의 본질적 의미와 특징. 1) 이성과 감성: 아폴론적 특성과 디오니소스적 특성 * 모더니즘 : 이성에 기반하여 인간 주체가 자기 바깥 세계를 합리적으로 파악하여 역사를 진보, 발전시킨다는 객관성의 논리. : 낭만주의의 감성에 개인의 상상력과 진리의 주관성이란 전통적 규범과 인.. 2023. 5. 9.
13. 복식미학 강의 2 - 2. 성과 복식(2) 3) 사회 문화적 맥락에서 성(sexuality) * 시대정신 ① 17세기 바로크 - 절대적 권위가 우위, 따라서 남성이 패션의 주도적인 입장, 긴 머리의 가발, 무릎까지 오며 넓은 바지 스타일 등. 바로크 후기 복식에서 성적 특징은 확연히 구분. - 남성적 이미지의 바지차림이 이 시기에 정착, 여성은 남성복에 대한 선호로 남성적 이미지를 착용하기도 함. - 현세 지향적인 가치 추구로 화려한 장식은 더욱 힘과 극적인 감정표출로 남성 이미지를 강화하고 있음. ② 18세기 로코코 - ‘감성의 지배’ 하에 ‘여성주의’가 팽배하였던 시기. - 로코코 시기 복식에서도 여성적인 이미지와 취향이 지배적. - 여성적인 이미지는 남성복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음 → 화려한 색상, 주름장식이 달린 셔츠, 남성들도 여성의 전.. 2023. 5. 8.
11. 복식미학 강의 2 - 1. 몸과 복식(2) 3. 인체의 장식 * 인간은 다른 동물과 달리 장식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복식을 창조. * 보통 보호설, 정숙성, 비정숙성, 성적매력설, 신체적∙심리적 보호설, 장식설. 1) 힐레르 힐러의 미적 장식설 -『나체에서 의복 From Nudity to Raiment』에서 의복의 기원을 7가지 측면으로 제시. ① 경제적 이론: 신체보호설로 추위나 바람으로부터 신체를 경제적으로 보호하고자 복식이 발생. ② 모세 이론: 창세기 3장 7절 성경에 기인하며, 복식이란 나체에 대한 수치심인 인간의 내적 본능 때문에 착용되었다는 설. ③ 소유이론: 호감이 가는 대상에 대한 소유욕이 복식의 기원이 됨. ④ 성적매력설: 남녀 상호 간에 좀 더 매력적으로 보이게 하기 이하여 복식이 발전. ⑤ 토테미즘: 종교적인 토템이나 .. 2023. 5. 7.
10. 복식미학 강의2 - 1. 몸과 복식(1) * 복식: 몸과 움직임, 장식, 2차원적인 평면, 즉 직물을 도구 삼아 인간의 무한한 상상력이나 감정을 질서 있게 표현하는 조형 작업. * 복식은 몸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몸의 움직임과 복식의 입는 방법에 따라 형태가 변화하는 동태미를 수반함 → 다른 조형 예술과의 차이점. * 몸은 복식의 중요한 표현 대상이며 몸에 대한 미의식의 반영은 복식의 형태를 결정하며, 몸에 대한 이상미(ideal beauty)의 변화는 복식의 변화를 가져옴. 1. 몸에 대한 미의식과 복식 1) 몸에 대한 이상미 - 미에 대한 이상은 한 지역 내에서도 시대에 따라 변하며 한 시대 내에서도 문화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함. - 모리스 바이츠(Morris Weitz)의 『미학의 문제』 “개개의 시대나 개개의 예술운동, 개개의 예술 철.. 2023. 5.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