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포스트모더니즘2

18. 복식미학강의 2 - 5. 포스트모더니즘 패션(2) 2. 포스트모더니즘 이론과 반미학 * 일반 사회문화∙예술 현상에 나타나는 포스트모더니즘 핵심 내용. - 할 포스터(Hal Foster): ‘저항의 포스트모더니즘’을 이룩하려고 개척자적인 시도. - 반미학 : 모더니즘의 기존 질서를 와해(deconstruction)시키는 비판의 시작. : 모더니즘 그 자체의 이미지 속에 모더니즘 봉인하기 위함이 아닌 개방시키기 위해 해체해 재기술(rewrite). : 닫힌 모더니즘과 열린 포스트모더니즘의 본질적 의미와 특징. 1) 이성과 감성: 아폴론적 특성과 디오니소스적 특성 * 모더니즘 : 이성에 기반하여 인간 주체가 자기 바깥 세계를 합리적으로 파악하여 역사를 진보, 발전시킨다는 객관성의 논리. : 낭만주의의 감성에 개인의 상상력과 진리의 주관성이란 전통적 규범과 인.. 2023. 5. 9.
17. 복식미학강의 2 - 5. 포스트모더니즘 패션(1) 1. 패션의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을 보는 시각 1) 연결된 고리로서의 아방가르드 * 과거와 현재는 어떤 식으로든 기록·해석·평가가 요구되며 미래에 대한 예측 가능. * 기존의 미학 방식이나 사고체계, 사회문화적 가치가 새로운 시대와 맞지 않을 경우, → 새로운 실험의 성격 아방가르드(avant-garde)가 나타남. → 아방가르드는 시간이 흐르면 전통의 일부로 흡수. * 칼리네스쿠(Calinescu)의 모더니즘 설명 : 19세기 중반 처음 나타난 미학적 현대성의 일종으로 새로운 것 (the new) 의미, 이 또한 다음에 발생하는 새로운 것에 의해 대체됨을 암시. * 포스트모더니즘 패션은 과거와 단절이 아닌 미래에도 계속 변화함을 의미. 2) 반미학으로서의 패션 *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으로 전환되.. 2023. 5.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