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복식의 양식
- 복식 그 자체가 미적 대상: 외적 형태미(조형성).
- 조형성을 빌려 내적 내용을 이룸.
- 내적 내용은 인간의 감성이 기반 ⇒ 미적가치.
* 현대의 복식
- 신체를 보호하는 도구적 기능보다 치장과 장식을 통한 표현적 기능으로 미적가치와 미적 경험을 파악.
- 표현적 기능: 복식이라는 대상을 통하여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표상 작용(의복의 이미지, 패션의 이미지).
⇒ 복식의 미적가치와 미적 성격의 양상을 의미
1. 미의 개념과 그 전이의 과정
* 서구 미학사의 미의 개념 두 가지
- 객관적 존재로서의 예술작품(객관적 의미의 미)
: 비례와 같은 형식적 성질.
: 이념과 같은 초월적 실체의 객관적 대상.
- 미적 대상을 파악하는 주체의 태도, 작용의 측면(주관적 의미의 미)
: 주관의 특수한 태도.
: 미적 태도를 취할 때 그에 대한 대상인 미적 대상을 의미.
1) 객관적 의미의 미
- 고대 그리스인의 ‘아름답다(kalon)’는 오늘날의 ‘아름답다’는 것과는 다른 의미로 ‘인정할 만하다’, ‘칭찬할 만하다’의 뜻.
- 플라톤→‘도덕적 아름다움’을 포괄하는 뜻.
- 아리스토텔레스→‘좋고(선하고) 따라서 즐거운 것’이라 정의.
- 그리스인의 미란 수에 입각한 비례나 조화와 같은 객관적·형식적 성질이 있는 것.
- 좁은 의미의 ‘아름답다’는 비례나 조화와 같은 합리적 성질을 지칭.
- 플라톤은 ‘척도와 비례의 유지는 항상 아름다운 것이며 그것의 결핍은 추하다’
- 객관주의적 미의 개념은 중세, 르네상스까지 적용.
2) 주관적 의미의 미
- 현재 우리의 ‘미’ 개념에 가까운 것을 그리스인이 고찰.
- 감각적, 시각적, 청각적인 질서를 눈이나 귀로 느끼는 미를 지칭.
- 초기 예술가는 균형의 원리로, 후기예술가는 감각기관에 의한 아름다움을 표현.
- 주관적 의미의 미 개념은 18세기 과학의 발달, 개인주의적 성향, 경험주의 철학(존 로크)의 영향으로 이론적으로 강화.
- 샤프츠베리(Shaftesbury)는 마음의 즐거움을 환기해 주는 모든 대상이 ‘아름답다’고는 할 수 없다는 점에서 무관심성이란 개념을 제기.
→ 취미란 감각적 성질이나 지적으로 계산된 어떤 목적과는 무관한 직관의 능력으로 오늘날의 미적 경험이라는 개념의 기원.
- 취미론자는 협의의 미(아름다움) 이외에 다른 성질을 가진 대상으로부터 즐거움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
→ 숭고, 풍려 등 새로운 미적 범주가 등장하며 유일한 미적 범주였던 ‘미’가 평가절하되며 미적 범주가 확대.
- 칸트의 「판단력 비판」에서 ästhetisch(미적인)이란 말은 ‘단순한 직관에 근거하며 개념적 사유의 매개 없이 직접적으로 쾌적하다’는 의미이며 직접체험에 의한 직감적인 미적 가치를 표시하는 말로 ‘미’는 ‘미적’에 비하여 하위개념.
▶ 서구 미학사의 흐름은 객관적인 의미의 미 개념에서 주관적인 미적대상의 개념으로 전이
2. 복식에서의 미적 범주의 유형
- 오늘날 복식은 도구적 역할과 신분 상징성이 약화
- 미학적 측면에서 우아, 섬세, 효용성, 우미, 숭고, 고전적, 낭만적, 추 등 다양한 미적 범주처럼 복식미도 다양한 미적 범주가 존재.
- 미적대상과 미 자체의 성질에 따라 자연미와 예술미, 음악의 미와 시각예술의 미, 실제적 형상의 미와 추상적 형상의 미 등 다양하게 구분.
- 자연미나 예술미 같은 정식구분과 섬세나 우아 같은 개별적 미가 존재.
- 섬세나 우아는 미를 구분한 결과물 또는 미의 종류가 아닌 변화형으로 미의 특질 또는 미의 성질이라 지칭.
- 미적 범주를 체계적으로 조직한 이론 : 미적 범주론은 영국의 경험 미학 (버크의 「숭고와 미에 대하여」, 테임즈(Kames, H. Home)의 「비평의 요소」)에서 환기된 이론.
* 미의 범주
- 고바타 쥰조 : 미적 범주를 방법론적으로 미학자가 근거로 삼는 철학적 입장의 차이에 의해 다른 것이 된다고 함 → 미적 범주는 개별적인 다양성으로 분류되며 여러 범주들의 가치 차이나 우월의 서열이 없음.
- 광의의 미: ‘감성적∙직감적’, 직감은 여러 가지 뉘앙스로 미적 가치를 실현, 뉘앙스는 확실한 원리에 의거하여 유형으로 체계화시킨 것을 미적 범주라 함.
- 협의의 미: 미적 범주에 포함되면서 미적 범주를 대표하는 중심이 되며 조화와 원리에 의거하여 쾌감을 가져오는 것.
- 미적 범주는 숭고, 비장, 골계, 유머, 우미, 특성미, 추를 포함 → 보다 고차원의 여러 가지 미적 범주를 생성.
* 타타르키비츠의 미적 범주의 개념을 바탕으로 한 복식의 미적 범주
- 미적 범주를 미의 종류가 아닌 변화형을 전제
1) 미(beauty)
- 협의의 미로 광의의 미인 ‘미적’인 것의 한 범주인 ‘아름다움’을 의미하는 고전적 형식미.
- 고전적 형식미인 규칙적 배열, 비례, 조화, 균형을 통한 미.
- 지식과 이성에 따르는 미로 합리적이며 분석적·이성적인 복식미 (그리스인들이 추구).
- ‘법칙에 의한 미’로서 ‘우아(grace)’와 대립.
예) 전통적인 남성들의 테일러 슈트, 샤넬의 카디건 슈트
2) 우아(grace)
- 미는 법칙에 의해서만 즐거움을 주는 반면 우아는 법칙이 없이 즐거움을 준다 (Félibien).
- 우미는 고요함, 심오함 등의 정신적 측면인 반면 우아는 정신적 측면을 배제한 감성적 측면이 표현된 외연적 운동에 중점.
- 우아미를 유연하고 자유로운 파상적 곡선운동에 비유 (윌리엄 호가스).
예) 유기적 곡선의 화려한 꽃 모양과 파상적 무늬가 지배적인 18세기 로코코 미술과 로코코 복식.
3) 우미(comeliness)
- 엘레강스(elegance)를 뜻함.
- 이성과 감성의 완전한 조화인 아름다운 혼이 현상에서 표출된 것 (숼러: 우미론 기초확립).
- 인간의 감성적인 것과 정신적인 것의 조화와 균형으로부터 생겨난다 (폴켈트).
- 우미의 대상적 특징은 섬세함과 연약함이며 우미와 숭고를 양극적인 미적 범주로 봄 (바이어).
예) 대표적인 인물로 로코코시대의 마담 퐁파두르부인으로 그녀의 복식을 말함.
4) 숭고(sublime)
- 장엄(grandis), 장중(grauz)과 같은 의미.
- 미적 범주로 근세 이후에 도입.
- 에드먼드 버크(Edmund Burke): 고통, 위험, 공포 같은 관념이 직접 현실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을 만큼의 거리를 두고 존재할 때의 독특한 쾌감.
: 인간이 대상에 압도됨과 동시에 자아를 고양하면서 쾌와 불쾌의 혼합적인 긴장감을 느낄 때 성립하는 미.
- 최수현(2003)
: 숭고미란 고통과 쾌락, 공포와 환희, 부정과 긍정이 혼합된 양면감정이라 정의.
: 미적가치에는 비장성, 무한성, 해체성이 있음.
① 비장성: 죽음과 신체적 고통, 공포가 초월되어 체험되는 영혼의 고양.
② 무한성: 엄청난 크기나 힘을 갖은 대상 앞의 위축으로 인하여 초월적인 이성의 위대성을 발견하는 환희.
③ 해체성: 자아상실의 공포가 새로운 자아의 발견으로 초월되어 기쁨에 도달.
④ 비장의 숭고미: 비장미와 일맥상통, 신체적 고통이 수반되는 문신, 상흔, 변형, 코르셋으로 조여지는 인체, 금욕 상징의 성직자 복식, 악마적 이미지, 혐오스러운 오브제. 오브제.
⑤ 무한의 숭고미: 신체 확장의 의미로써 복식으로 과장되게 장식, 인간의 위엄, 지위 등을 과시.
⑥ 해체의 숭고미: 포스트모더니즘 패션에서 강조되는 표현,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기존의 공식들의 균형을 해체시켜 어울릴 수 없는 다른 공식과 기존의 공식을 재결함 시키며 새로움을 창조하는 쾌감.
예) 앤드로지너스룩, 섹스리스룩, 그런지룩, 복고풍
5) 비장(tragic)
- 인간적 위대성이 침해되고 멸망될 때 인간은 고뇌를 느끼며, 고뇌에 의해 가치 감정이 강화, 고양되면 생겨나는 것
- 고뇌의 가치를 높인 숭고로써, 숭고의 파생적 형태.
- 비장과 유사한 미적 범주로 비애가 있음 → 비애는 단순한 고뇌를 통한 체험을 의미.
6) 골계(comic)
- 희극적인 미로 기대된 것과 실현된 것 사이의 모순에 근거하는 미.
- 의외성으로 인한 놀라움, 환멸감 등의 불쾌감이 유희적 태도에 의해서 극복되며 느끼는 미적 쾌감.
- 그로테스크한 표현과 함께 강조, 왜곡을 통하여 주술적 의미, 상징적 의미를 부여.
예) 찰리채플린은 옷차림으로 옷차림으로 자기표현, 개인적 자유, 권위에 대한 반란, 전통의 거부를 은유적으로 표현, 유방과 엉덩이만을 과장되게 표현한 옷, 낙서 기법의 무늬, 임신부처럼 복부에 패드를 댄 웨딩드레스.
7) 적합성(aptness)
- 실용적인 목적에서 만들어진 제품에 나타난 독특한 미적 범주.
- 적합성은 시대에 따라 타당성, 격식 등으로 이해되며 연령, 성별, 시간, 장소 등에 따라 복식을 갖추어 입을 때 아름다움을 느끼는 것.
- 20세기 기능주의의 미적 범주로 샤넬의 복식이나 현대의 남성 테일러 슈트의 미적가치이기도 함.
8) 추(ugliness)
- ‘추’는 협의의 ‘미’에 대립되는 개념.
- 추의 ‘충격효과’는 미적인 인상에 활기와 생동감을 주는 역할.
- 형식적 특징은 무형태, 불균제, 부조화의 ‘불형식성’과 내용적 특징은 ‘왜곡’이며, 표면적 특징은 ‘부정확성’ 임.
- 20세기 전반기 모더니즘시대에는 기계주의에 의한 적합성, 합목적성 추구로 인한 기성복 시대의 획일성으로 인간성의 상실 초래.
- 20세기 후반기의 반문화적 스타일, 펑크스타일은 추의 ‘충격효과’을 최대한 발휘하여 자아 정체감 회복.
ex) 그런지룩, 러기드룩은 현대인의 좌절, 물질주의에 대한 항거, 기계주의에 대한 회의 표현
9) 고전적 미
- 고전적(classic 혹은 classical)의 의미.
- 고전주의는 역사적 개념으로 카롤링시대, 로마네스크시대의 일부, 르네상스, 17세기 일부, 18세기말~19세기 초의 고전주의 등을 포함하며 고대로부터 빌려온 형식들(건축양식, 복식양식)이 특징.
- 미의 다양성에서 고전적이란 조화, 절도, 균형, 고요함의 성질.
- ‘고전적’ 혹은 ‘고전주의적’ 미의 특성
① 미는 올바른 비례, 부분들의 조화, 절도의 유지.
② 사물의 본성 속에 내재하고 있는 객관적인 성질이며 본질적으로 불변적이며 항상적이고 체험될 뿐 발명되는 것이 아니다.
③ 미는 지식에 달려있어 연구하고 경험해서 알아내는 것.
④ 미는 인간적 척도에 입각한 미로 이 원리를 건축에 까지 적용했다.
⑤ 미는 일반적 규칙에 복종한다.
⇒ 고전적 미는 협의의 미 개념과 일치
- 현대복식에서 고전적 미란 디자인의 단순성, 조화, 재단이 절제된 형태로써 H실루엣이나 구조적인 디자인이 특성임.
→ 합목적성, 적합성, 실용성을 미적가치로 함
예) 샤넬룩, 셔츠, 카디건카디건 슈트, 테일러 슈트, 트렌치코트등
10) 낭만적 미
- 문학, 예술에서의 낭만주의는 1800년부터 1850년까지 유럽에 나타난 예술양식으로 풍습, 의상까지 적용.
- 고전적 미가 협의의 미라면 낭만적 미는 광의의 미의 개념.
- 광의의 미의 영역에서 고전적 미를 제외한 대부분의 미를 포함.
- 낭만적 미의 특징
① 낭만적인 예술은 느낌, 직관, 충동 등 정신의 비이성적인 기능에 의존
② 낭만적인 예술은 상상력에 의존
③ 문학 및 예술에서 시적인 것을 가치로 인식
④ 협소한 의미의 낭만주의는 ‘부드러운’ 감정에 이끌리는 예술
⑤ 일반적인 정의로는 예술의 정신적 본성에 대한 믿음
⑥ 형식보다 정신에 우월성을 부여하는 것
⑦ 미적 관심보다 윤리적인 관심을 중요시하며 유미주의가 배제된 미학
⑧ 기존공식에 대한 반항
⑨ 모든 규칙에 대한 반항이며 규칙을 벗어난 창조성
⑩ 문학과 예술에 있어 개인주의이며 주관주의
⑪ 사물과 예술의 다양성을 인식하는 것
- 복식에 있어 낭만주의는 1820년부터 1850년의 시기.
- 건강한 외모를 배척하고 우아하고 창백한 외모, 가냘프고 약해 보이는 미가 선호.
- 낭만주의 시기의 복식의 특징
① 고딕시대의 뾰족한 것이 강조.
② 르네상스 시대의 러플칼라.
③ 바로크 풍의 풍성한 소매나 넓은 폴링 칼라, 코르셋과 크리놀린에 의한 X실루엣이 유행했으며 화사한 이미지 강조를 위한 얇고 비치는 부드러운 원단, 광택 나는 직물 레이스 등이 사용.
▶ 복식미를 날카로운 경계선으로 분류하여 나누는 것은 무리가 있으며 공감대에 따라 위에 제시된 미적 범주 외에 어떤 범주로도 고찰될 수 있다.
'의류학과 패션디자인학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 복식미학 강의 2 - 1. 몸과 복식(2) (0) | 2023.05.07 |
---|---|
10. 복식미학 강의2 - 1. 몸과 복식(1) (0) | 2023.05.07 |
8. 복식미학강의 1 – Chapter 5. 복식의 조형성(2) (0) | 2023.05.03 |
7. 복식미학강의 1 – Chapter 5. 복식의 조형성(1) (0) | 2023.05.03 |
6. 복식미학강의 1 – Chapter 4. 복식양식의 변화 (0) | 2023.05.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