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56 14. 복식미학 강의 2 - 3. 문화와 복식(1) 1. 문화의 특성과 복식 * 문화 - 윌리엄스(Williams): ① 교양 있는(cultured) 사람 혹은 심성의 고양된 상태 ② 특정한 문화적 활동 또는 관심사 ③ 과정(process)의 성과물 ⇒ 사람들이 예술과 지적 활동의 작품을 의미할 때 사용하는 복잡한 단어 * 문화개념의 핵심: 과정(process), 생산(product), 세련(refinement) 혹은 품위 - 초기 단계: 농사와 관련 → 의도된(cultivar) 것으로 변형시키는 의미를 내포 - 16세기 초반: 인간의 경험이라는 의미로 전환, 인간 발달과정이라는 의미 과정의 결과물과 정제 혹은 세련, 개선을 강조 - 19세기 이후: 문화의 이상적(ideal)이고 기록적인(documentary)인 속성과 결합 이상적인 모델에서 문화는 발전.. 2023. 5. 9. 13. 복식미학 강의 2 - 2. 성과 복식(2) 3) 사회 문화적 맥락에서 성(sexuality) * 시대정신 ① 17세기 바로크 - 절대적 권위가 우위, 따라서 남성이 패션의 주도적인 입장, 긴 머리의 가발, 무릎까지 오며 넓은 바지 스타일 등. 바로크 후기 복식에서 성적 특징은 확연히 구분. - 남성적 이미지의 바지차림이 이 시기에 정착, 여성은 남성복에 대한 선호로 남성적 이미지를 착용하기도 함. - 현세 지향적인 가치 추구로 화려한 장식은 더욱 힘과 극적인 감정표출로 남성 이미지를 강화하고 있음. ② 18세기 로코코 - ‘감성의 지배’ 하에 ‘여성주의’가 팽배하였던 시기. - 로코코 시기 복식에서도 여성적인 이미지와 취향이 지배적. - 여성적인 이미지는 남성복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음 → 화려한 색상, 주름장식이 달린 셔츠, 남성들도 여성의 전.. 2023. 5. 8. 12. 복식미학 강의 2 - 2. 성과 복식(1) 1. 복식에서의 전통적인 남성적∙여성적 이미지 - 케네스 클라크(Kenneth Clark)는 『누드의 미술사 The nude』에서 여성의 출산능력을 강조한 이미지를 ‘자연의 비너스상’, 정신적인 이데아를 향해 이상화된 이미지를 ‘천상의 비너스상’으로’ 칭함. - 자연의 비너스상: 여성적 이미지 - 천상의 비너스상: 남성적 이미지 - 여성적∙남성적 이미지는 고대 중국에서 유래된 음양 개념을 바탕으로 학자들에 의하여 복식 디자인에 적용되었음. - 1759년, 출판된 에드문드 버크 (Edmund Burke)의 저서 『미와 숭고의 개념적 기원에 관한 고찰』에서 성별에 체계에서 숭고를 남성의 범주에, 미를 여성의 범주로 규정짓고 있음. - 성적 관념의 따라 남성과 여성에게 요구되는 전형적인 성격 특성을 살펴보면 .. 2023. 5. 8. 11. 복식미학 강의 2 - 1. 몸과 복식(2) 3. 인체의 장식 * 인간은 다른 동물과 달리 장식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복식을 창조. * 보통 보호설, 정숙성, 비정숙성, 성적매력설, 신체적∙심리적 보호설, 장식설. 1) 힐레르 힐러의 미적 장식설 -『나체에서 의복 From Nudity to Raiment』에서 의복의 기원을 7가지 측면으로 제시. ① 경제적 이론: 신체보호설로 추위나 바람으로부터 신체를 경제적으로 보호하고자 복식이 발생. ② 모세 이론: 창세기 3장 7절 성경에 기인하며, 복식이란 나체에 대한 수치심인 인간의 내적 본능 때문에 착용되었다는 설. ③ 소유이론: 호감이 가는 대상에 대한 소유욕이 복식의 기원이 됨. ④ 성적매력설: 남녀 상호 간에 좀 더 매력적으로 보이게 하기 이하여 복식이 발전. ⑤ 토테미즘: 종교적인 토템이나 .. 2023. 5. 7.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