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류학과 패션디자인학과

12. 복식미학 강의 2 - 2. 성과 복식(1)

by 리지하이 2023. 5. 8.
반응형

1. 복식에서의 전통적인 남성적여성적 이미지

- 케네스 클라크(Kenneth Clark)는 『누드의 미술사 The nude』에서 여성의 출산능력을 강조한 이미지를자연의 비너스상’, 정신적인 이데아를 향해 이상화된 이미지를천상의 비너스상’으로’ 칭함.

- 자연의 비너스상: 여성적 이미지

- 천상의 비너스상: 남성적 이미지

 

- 여성적남성적 이미지는 고대 중국에서 유래된 음양 개념을 바탕으로 학자들에 의하여 복식 디자인에 적용되었음.

 

- 1759, 출판된 에드문드 버크 (Edmund Burke)의 저서 『미와 숭고의 개념적 기원에 관한 고찰』에서 성별에 체계에서 숭고를 남성의 범주에, 미를 여성의 범주로 규정짓고 있음.

 

- 성적 관념의 따라 남성과 여성에게 요구되는 전형적인 성격 특성을 살펴보면 남성은 엄격하고, 활동적, 독립적, 공격적, 야만적, 객관적, 여성은 부드럽고, 민감, 따뜻하고, 의존적, 수동적, 종속적, 직관적인 것 등으로 나타남.

 

남성적 이미지 여성적 이미지
테일러 스타일 드레이프 스타일
직선적 곡선적
디테일이 크거나 비교적 적음. 디테일이 작거나 비교적 많음.
무겁고 거친 재질감. 가볍고 부드러운 재질감.
큰 무늬나 무지 혹은 기하학적 무늬가 주로 사용됨. 작은 무늬나 꽃무늬, 추상적 무늬가 주로 사용됨.
단순하고 세련된 무채색 우아한 유채색이나 중간이나 밝은 채도, 파스텔 톤의 색채.
바지 스타일로 표현 치마 스타일로 표현

 

 

 

2. 복식에서의 성이 혼돈: 앤드로지너스 룩, 섹스리스 룩

1) 생물학심리학적 남성, 여성

- 인간이 신체적으로 남성과 여성 호르몬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고 믿음

- 심리학적: 남성적 특질과 여성적 특질이 공존한다고 주장

 

2) 앤드로지너스 룩

- 산드라 벰(Sandra Bem, 1974): 남성이나 여성은 모두 남성적 특질과 동시에 여성적 특질을 함께

지닐 수 있다고 하였음 여성성과 남성성 특질이 높은 사람 양성적(androgynous)이라 하였음.

- 복식에서 앤드로지너스는 남성보다 여성이 남성복 이미지 수용함으로써 좀 더 남성적 특질을 강하게 보이고자 하는 측면으로 인식 남자다운 여성스러움(feminity of the masculine).

- 1920년대 보이쉬 룩(boyish look)

- 1960년대 여성은 남성의 테일러 팬츠 슈트인 머스큘린 룩을 착용, 진과 티셔츠 등을 입음으로써 성적 평등을 주장하는 유니섹스 모드가 지배적.

 

3) 유니섹스(unisex)

- 중성적

- 남자와 여자가 혼용하는 복식으로 입는 사람의 성을 더 이상 구별할 수 없으며 나아가 복식은 더 이상 유혹의 수단으로 사용될 수 없음을 시사함.

 

4) 트랜스베스티즘 (transvestism)

- 이는 이성의 옷을 입거나 태도를 보이는 것을 의미함.

- 고정된 성 역할에 대한 반항의 상징.

- 전통적 남성 복식에 대한 싫증과 함께 여성 복식의 이미지를 모방.

- 성도착자는 성전환자(trans-sexual)와 구별되어야 함.

- 성도착자는 항상 자기 고유의 성을 깨닫고 있으며 그들의 활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그들의 성() 이성의 복식은 그들에게 과시적, 흥분적, 중요한 요소.

- 스톨러(Stoller, 1968)는 트랜스베스티즘은 여성에게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그러나 남성의 테일러 슈트, 바지, 지팡이, 모자, 넥타이, 와이셔츠를 도착한 것은 여성의 트랜스 베스티즘의 한 일면, 또한 에로틱한 가치 내포함.

 

 

3. 복식에서 성적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사회적생물학적 관점

- 1819세기 과학과 의학에 나타난 이분법적인 성별체계를 규명함.

- 다윈의 진화론: 19세기 많은 영역에 영향을 미침, 적자생존의 토대로 다원은 성별 정체성(gender identity)의 우월성 합리화하였음.

- 진화의 또 다른 메커니즘인 성적 선택(sexual selection) 설은.

- 사회적 다위니즘의 대표적 인물 허버트 센서는 진화론적 관점에서 여성의 인체미를 생산(reproduction) 기능과 관련된 것으로 보았다.

- 19세기 이러한 생물학적 다위니즘을 토대로 여성의 생산능력 최대화 엉덩이 강조한 버슬 양식창조, 남성의 힘을 과시 어깨를 패드로 강조한 테일러 슈트가 만들어짐.

 

2) 심리학적 분석: 성적 매력설

- 아담과 이브의 원죄 이후 눈이 뜨이면서 수치심에 대한정숙설로서 복식이 발전되었다고 함.

- 또한 정숙설에 따라 나체는 성적 대상물로서 전이되었고, 이를 복식으로 은폐하고자 하나 더욱 관능적인 인체와 세속적인 매력, 에로티시즘이 강조된다는성적 매력설도 뒷받침해 주고 있음.

- 20세기 섹시즘(sexism): 인간의 몸과 패션이 성적 자극물로서 진통을 겪는 것이며, 남녀 모두의 몸과 패션에 대한 공통적심리적 욕망인 것.

- 프로이트는 성적 욕구 중 가장 근본적인 요소보고자 하는 욕망’.

- 남성은 옷에 관한 관심은 약하나 여성을 바라보는 능동적인 형태인관찰로 성적 충동을 충족시키고, 여성들은 미성숙과 비이성적이므로 수동적 형태로 ’ 보이기 원하는본능으로 성적 충동을 충족시키게 됨.

- 머레이 왁스(Murray Wax)는 여성의 화장이나 옷 치장 행위는 일상성과 통제성, 노출과 은폐, 성형성과 고정성으로 분석될 수 있음을 제시, 옷 치장이란 성적 특성을 나타내 줄 뿐만 아니라 개인의 역할과 사회적 지위 신분을 암시.

- 한 시대의 정신표현인 패션으로 여성의 자아를 포장한다는 것은 여성 자체를 성적 대상물로서 표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

 

 

몸 전체로 확산된 성적 관심을 표현하는 헨리 8세의 초상화.

헨리 8세의 초상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