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패션디자인16

12. 복식미학 강의 2 - 2. 성과 복식(1) 1. 복식에서의 전통적인 남성적∙여성적 이미지 - 케네스 클라크(Kenneth Clark)는 『누드의 미술사 The nude』에서 여성의 출산능력을 강조한 이미지를 ‘자연의 비너스상’, 정신적인 이데아를 향해 이상화된 이미지를 ‘천상의 비너스상’으로’ 칭함. - 자연의 비너스상: 여성적 이미지 - 천상의 비너스상: 남성적 이미지 - 여성적∙남성적 이미지는 고대 중국에서 유래된 음양 개념을 바탕으로 학자들에 의하여 복식 디자인에 적용되었음. - 1759년, 출판된 에드문드 버크 (Edmund Burke)의 저서 『미와 숭고의 개념적 기원에 관한 고찰』에서 성별에 체계에서 숭고를 남성의 범주에, 미를 여성의 범주로 규정짓고 있음. - 성적 관념의 따라 남성과 여성에게 요구되는 전형적인 성격 특성을 살펴보면 .. 2023. 5. 8.
11. 복식미학 강의 2 - 1. 몸과 복식(2) 3. 인체의 장식 * 인간은 다른 동물과 달리 장식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복식을 창조. * 보통 보호설, 정숙성, 비정숙성, 성적매력설, 신체적∙심리적 보호설, 장식설. 1) 힐레르 힐러의 미적 장식설 -『나체에서 의복 From Nudity to Raiment』에서 의복의 기원을 7가지 측면으로 제시. ① 경제적 이론: 신체보호설로 추위나 바람으로부터 신체를 경제적으로 보호하고자 복식이 발생. ② 모세 이론: 창세기 3장 7절 성경에 기인하며, 복식이란 나체에 대한 수치심인 인간의 내적 본능 때문에 착용되었다는 설. ③ 소유이론: 호감이 가는 대상에 대한 소유욕이 복식의 기원이 됨. ④ 성적매력설: 남녀 상호 간에 좀 더 매력적으로 보이게 하기 이하여 복식이 발전. ⑤ 토테미즘: 종교적인 토템이나 .. 2023. 5. 7.
10. 복식미학 강의2 - 1. 몸과 복식(1) * 복식: 몸과 움직임, 장식, 2차원적인 평면, 즉 직물을 도구 삼아 인간의 무한한 상상력이나 감정을 질서 있게 표현하는 조형 작업. * 복식은 몸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몸의 움직임과 복식의 입는 방법에 따라 형태가 변화하는 동태미를 수반함 → 다른 조형 예술과의 차이점. * 몸은 복식의 중요한 표현 대상이며 몸에 대한 미의식의 반영은 복식의 형태를 결정하며, 몸에 대한 이상미(ideal beauty)의 변화는 복식의 변화를 가져옴. 1. 몸에 대한 미의식과 복식 1) 몸에 대한 이상미 - 미에 대한 이상은 한 지역 내에서도 시대에 따라 변하며 한 시대 내에서도 문화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함. - 모리스 바이츠(Morris Weitz)의 『미학의 문제』 “개개의 시대나 개개의 예술운동, 개개의 예술 철.. 2023. 5. 7.
9. 복식 미학 강의 1 – Chapter 6. 복식의 미적범주 * 복식의 양식 - 복식 그 자체가 미적 대상: 외적 형태미(조형성). - 조형성을 빌려 내적 내용을 이룸. - 내적 내용은 인간의 감성이 기반 ⇒ 미적가치. * 현대의 복식 - 신체를 보호하는 도구적 기능보다 치장과 장식을 통한 표현적 기능으로 미적가치와 미적 경험을 파악. - 표현적 기능: 복식이라는 대상을 통하여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표상 작용(의복의 이미지, 패션의 이미지). ⇒ 복식의 미적가치와 미적 성격의 양상을 의미 1. 미의 개념과 그 전이의 과정 * 서구 미학사의 미의 개념 두 가지 - 객관적 존재로서의 예술작품(객관적 의미의 미) : 비례와 같은 형식적 성질. : 이념과 같은 초월적 실체의 객관적 대상. - 미적 대상을 파악하는 주체의 태도, 작용의 측면(주관적 의미의 미) : 주관의 특.. 2023. 5.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