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류학과 패션디자인학과

16. 복식미학강의 2 - 4. 문학과 의상

by 리지하이 2023. 5. 9.
반응형

* 문학: 우리의 정서와 사상을 상상의 힘을 빌려, 언어 혹은 문자에 의하여 표현하는 커뮤니케이션.

 

1. 의상과 문학의 필연적 관계

* 현대사회에서 아무리 이미자가 범람한다고 하여도 이미지가 전달할 없는 이상의 것을 언어나 문자가 전달함.

 

1) 영혼의 상징인

- 성경 『창세기』 3 7: 옷은 영혼의 상징물로 대체.

- 단테의 『신곡』: 옷을 가지 덕을 상징적으로 내포 (하얀 면사포-믿음, 녹색 망토-소망, 붉은 -사랑).

- 이해인 수녀 『다른 옷은 입을 수가 없네』: 옷은 우리들의 영적 세계의 포장으로 상징화.

 

2) 이승과 저승에서의

* 녹의홍상

- 결혼

- 부유층은 수의로도 입음 화려하고 아름다운 내세를 상징화.

 

 

2. 사회비평으로서의 패션

* 패션: 라틴어 팍시오(factio)에서 유래된 , ‘창조하다 혹은 만들다.

* 자본주의의 등장 패션은 물신화, 본래의 의미가 퇴색.

- 유하 『바람 부는 날이면 압구정동에 가야 한다』: 패션의 과시적이며 유혹적 속성 현혹적인 소비문화 대변.

- 박노해 『시다의 꿈』: 자본주의 형성에 기여한 산업부문은 방적기의 발명, 의류산업 종사자인 미싱사, 재단사, 시다는 노동 계층.

 

 

3. 에로티시즘과 의상

* 의복은 인간의 성적 욕망, 에로티시즘과 연관.

- 루소 『신엘로이즈』: 육체는 환상적 에로티시즘으로 각인, 옷가지는 육체의 특정 부분을 물신화.

- 심리학자 플뤼겔: 패션이란 ‘이동하는 성감대(shifting erogenous zone)’로 정의.

- 패션이란: 머리, 얼굴, , 가슴, , 허리, 엉덩이, , 다리, 인체의 부위에 따른 성적 욕망 해석의 변화.

옷으로 표상.

- 우리는 강보에 싸여 태어나고, 수의로 인생을 마감한다. 옷은 욕망과 영혼의 시나리오가 동시에 연출될 있는 무대이기 때문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