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예술개념의 변화
* 예술(art)이란
- 만드는데 필요한 기술(skill), 또는 과제를 해결하는 능력(human making in general)을 의미.
- 과제를 해결하는 능력(human making in general)
① 자연에 의해 제공된 질료(material).
② 전통에 의해 전수된 기술.
③ 예술가 자신의 작업에 의해 수행됨.
* 그리스인의 예술
- 창조의 개념보다 준수해야 하는 일반적 규칙 → 중세로 계승: 순수예술과 수공업 기술 포함.
* 고대인의 예술
- 인문학적 예술과 통속적 예술(조각, 회화, 옷)로 나눔.
* 중세 시대의 예술
- 인문학적 예술(문법, 논리학, 천문학 등) → 정신적 노고
- 장인적 예술(의복 제조술, 건축술, 의료 술)→육체적 노고
- 인문학적 예술을 장인적 예술보다 우월한 것으로 평가
- 회화와 조각은 예술, 시는 예술이 아님
* 15~16세기의 예술
- 회화, 조각, 건축, 시, 음악, 연극, 무용은 공예와 복식, 과학과 구별되어 ‘순수예술체계’를 구성.
* 18세기 예술
- 예술의 의미가 ‘미적’ 의미로 한정.
- 회화, 조각, 음악, 시, 무용, 건축, 웅변 → 미적 예술, 순수예술
- 수공업 기술(복식, 공예)과 학문은 예술에서 배제
* 19세기 예술
- 순수예술, 미적 예술만을 지칭.
* 19세기 후반
- 윌리엄 모리스(William Morris)의 미술공예운동 이후, 순수예술과 실용예술의 차별을 반대하며 복식을 예술의 한 분야로 인식.
2. 예술로서의 복식에 대한 정의
* “예술의 재정의”
- 존 캐너데이(John Canada): “자연 세계와 구분되는 인간의 창의성으로 인간 체험의 무질서한 자료에 질서를 부여하는 기술이다.”
- 하버트 리드: “즐거운 형식을 만드는 시도이다”
- 보아스(Boas): ① 시각적 형태로서 인간의 행위, ② 미의 형태를 창조하는 과정이나 기술 요구 → 새롭게 창조된 형태의 미를 평가하는 기준, ③ 미적 가치까지 계산되는 것, ④예술가의 욕망과 의지.
- 타타르키비츠(Tatarkiewiez): 사물의 재현, 형식의 구성, 경험의 표현 등 의식적인 인간의 활동이며 기쁨, 감정, 충격을 일으킬 수 있는 것.
* 모리스 바이츠(Morris Weitz)의 예술
- 비트겐슈타인의 “가족유사성” 이론으로 예술을 이해.
- 예술품의 숨겨진 본질의 이해가 아닌 예술품들의 유사성을 설명, 묘사, 인식하는 것.
- 예술개념 간의 유사성은 열린 구조임.
- 이전의 예술과 유사점을 비교하고 새로운 경우를 포함하여 개념을 확장하는 것 → 열린 개념, 열린 구조.
* 모리스 바이츠(Morris Weitz)의 미학
- 미학의 목적은 이론을 찾는 것이 아니라, 예술의 개념을 명확히 하는 것.
- 예술의 가치는 예술의 개념을 바꾸기 위한 이유의 논쟁.
- 이론의 역할이란 예술이 무엇인가 정의 내리기보다는 장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의 내리는 것.
* 예술에 대한 의견의 공통점
① 예술작품은 자연, 동물 세계에 없는 인간에 의한 상징적 산물.
: 환경에 적응하기 위하여 상징계통(언어, 종교, 예술 등)을 발견.
: 인간의 사고와 경험, 상상에 의한 활동 방식으로 인간 문화생활의 다양함과 풍부함을 창조.
② 예술작품은 창조되기 위하여 일정한 법칙을 따르려는 성질, 즉 형식과 원리 아래에 있음.
: 형식은 질서와 균제, 조화를 말하며 고전적 형식미를 지칭.
: 객관적인 특성을 의미하며 뵐 풀린 의 예술 양식의 형 식사로 인식.
③ 예술이란 표현(expression)
: 리글(Riegl)의 정신사적 측면의 양식론.
: 물리적 대상의 재현이 아닌 인간의 내적 생명, 감동의 재현으로 성격 예술 또는 표현예술로 정의.
④ 예술은 인간의 행위의 창조물
: 예술과 창조는 불가분의 관계.
: 현대에는 새로운 것을 만드는 힘, 재능 또는 정신적인 과정.
: 문제해결 과정에서 요구되는 인지적 능력.
* 복식을 예술의 한 장르로 인해
① 복식은 인간의 상징적 행위의 산물로 오랫동안 변화해 옴.
: 조형예술의 한 영역, 형태를 빌려 내적 의미를 상징적으로 표출.
② 모든 예술은 창조되기 위하여 일정한 법칙을 따르려는 성질, 즉 형식과 원리가 있음.
: 한복 제작의 일정한 형식과 원리, 황금비율을 이용한 키톤, 샤넬의 고전주의 양식을 재생한 슈트.
③ 예술은 표현임
: 인간에게 미적 경험을 제공하는 미적 표현으로 예술의 영역.
④ 복식의 동적 현상인 패션에서의 창조성
: 패션의 속성은 항상 변화와 새로움을 추구.
: 오트 쿠튀르(haute-couture)의 독창성은 패션의 변화를 가져오며 이는 예술의 영역.
3. 미술공예운동의 배경과 이념
1) 존 러스킨(John Ruskin)의 예술 윤리관
* 윌리엄 모리스의 미술공예운동에 영향을 준 이론.
* 18세기 산업혁명으로 신흥 부르주아 계층(자본주의)과 노동자 계층의 불평등이 야기.
* 기계 생산의 자동화 · 조립과 · 규격화 · 획일화는 노동자에게 비인간적 측면.
* 대량생산은 예술성이 결여된 저질 제품의 생산
* 예술가들은 사회와 단절된 ‘예술을 위한 예술’, ‘예술가만을 위한 예술’로 예술이 극소수 특정 계급에 한정.
* 존 러스킨(John Ruskin)
- 노동의 윤리관이 파괴됨을 호소.
- 노동자들도 인간의 권위를 찾아야 한다고 주장.
- 아름다움이란 인간의 생존에 필수적인 것.
- 노동의 존엄성과 휴머니즘을 강조.
- 산업과 예술의 관계를 “산업 없는 인생이란 죄악이다. 그러나, 예술 없는 산업이란 잔인한 행위이다.”
2) 윌리엄 모리스의 미술공예운동
- 예술이란 회화, 조각, 건축, 실내장식의 모든 수공예품 영역에 걸쳐 있는 것.
- 진리의 탐구이며 개성의 표현으로 인식.
- 기계 주의를 배격하고 수공예 부흥 운동을 추진.
* 장식 미술 존재 이유
: 모방이 아닌 자연적인 미의 표현.
: 예술가의 의지 표현과 진리의 탐구.
: 수공에 의해 만들어진 형태가 자연과 일치할 때 미가 생성.
: 자연과 불협화음일 때 추가 생성.
: 중세고딕의 전신사조를 재창조하는 라파엘 전파 운동(Pre-Raphael)과 일치.
▶ 미술공예운동과 라파엘 전파 운동은 “사람에 의해, 사람을 위하여 창조된 예술, 창조한 사람이나 사용하는 사람이 다 기쁨을 느낄 수 있는 예술”을 재창조
'의류학과 패션디자인학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복식미학강의 1 – Chapter 3. 복식의 양식 (2) (0) | 2023.05.01 |
---|---|
4. 복식미학강의 1 – Chapter 3. 복식의 양식 (1) (0) | 2023.05.01 |
3. 복식미학강의 1 – Chapter2. 예술로서의 복식(2) (0) | 2023.04.29 |
1. 복식미학강의 1 - Chapter1. 서론: 복식 미학을 보는 시각 (0) | 2023.04.29 |
대학원 입학 일기 - 가정학과 패션디자인 복식 미학 전공 (0) | 2023.04.29 |
댓글